진균에 해당하는 글 5

무좀 Tinea pedis

의학용어|2022. 9. 28. 20:51
반응형

무좀 Tinea pedis

무좀은 곰팡이균에 의해 피부에 발생하는 피부병의 하나로 대부분 발에서 발생하지만 종종 손톱에서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무좀균인 피부사상균(Dermatophytes)은 진균의 하나로 피부 내부로 침투하여 균사를 형성하게 됩니다.

 

진균이란 무엇인가?

그럼 다시 진균으로 가보겠습니다. 무좀균인 피부 사상균은 진균의 일종입니다. 진균은 크게 빵을 발효 시키는데 사용하는 효모와 피부에 침투하여 세포를 파괴하는 사상균이 있습니다. 

 

진균은 광합성능이 없는 진핵생물이며, 섬유상(균사 hyphae)의 집단인 균사체(mycelium)로 서로 얽혀 증식됩니다. 균사체를 쉽게 말하면 균들이 무리를 지어 일정한 형태로 군집을 이루어 자라는 것을 말합니다. 세포벽은 키틴과 다당류로 구성됩니다.

 

균사체(mycelium)

 

섬유상의 균사를 가진 곰팡이를 사상균(mold)라고 하며, 균사체를 형성하지 않지만 단세포의 난형 또는 구형을 이루는 곰팡이를 효모(yest)라고 합니다. 즉 동일한 곰팡이지만 사상균은 균사를 이루어 집단체 즉 균사체를 이루지만, 효모의 경우는 따로따로 분리되어  분열합니다.

 

무좀의 원인이 되는 피부 사상균은 진핵세포이며, 광학성을 하지 못하며, 균사와 균사체를 이룹니다.

 

피부 사상균의 먹이 케라틴

피부 사상균은 백선균 속, 소포자균 속, 표피균 속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피부 사상균은 몸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피부층에 머물러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곳에 영양분으로 하는 케라틴이 있기 때문입니다. 케라틴(keratin)은 몸의 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점선과 탄성이 매우 높고 물에 쉽게 녹지 않습니다. 케라틴은 동물에게는 있지만 특이하게 곤충에게는 보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보는 머리카락, , 동물의 뼈, 손톱, 발톱 등이 케라틴이 이황화 결합을 통해 단단하 게 변형된 것입니다. 피부 사상균의 먹이는 바로 케라틴인 것이죠. 엄밀히 말해 피부 사상균이 피부를 너머 체내로 들어가지 못하는 이유는 먹이가 없어 굶어 죽기 때문입니다.

 

케라틴이 이황화 결합하여 만들어진 손톱

 

무좀의 감염

무좀은 전염되나요? 네 됩니다. 피부 사상균은 피부에 침투해 있어서 피부에 닿는 옷이나 수건 등을 통해 타인에게 감염됩니다. 피부 사상균은 습한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기온이 높고 공기가 잘 통하지 않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대부분의 무좀이 남성들의 군생활을 통해 감염됩니다. 군화를 벗지 않고 오래 신기 때문에 쉽게 감염됩니다.

 

그 외에서 화장실의 실내화, 공동 목욕탕의 타올, 이발관의 수선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감염됩니다. 가족 중에 무좀이 있다면 너무나 쉽게 무좀에 감염될 것입니다.

 

침투 부위에 따른 분류

피부사상균이 어떻게 침투하여 자라느냐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합니다.

 

족부 백선

무좀의 다른 말은 백선이라고 하죠. 발가락 사이나 발톱에 생기는 무좀을 족부 백선이라고 합니다.

 

두부 백선

머리에 백선이 생겼다면 두부 백선이라고 합니다.

 

체부 백선

몸의 전신의 피부에 피부사상균이 침투했다면 체부 백성이라고 말합니다.

 

서혜부 백선

사타구니 주변으로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되면 서혜부 백선으로 구분합니다. 서혜부 백선은 대부분 비만에 걸려 서혜부 주변이 공기가 잘 통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좀에 걸리면 가려운 이유

그런데 무좀에 걸리면 엄청 가렵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가려움증을 느낍니다. 왜 일까요? 바로 염증 반응 때문입니다. 해로운 균을 제거하기 위해 우리 몸은 면역반응을 일으킵니다. 이것이 염증입니다. 염증은 면역세포들이 외부의 바이러스나 세균을 죽이기 위한 전쟁의 결과인 셈이죠.

 

[무좀 관련 글]

무좀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원하시면 아래의 글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진균 종류와 특성

건강상식|2022. 9. 24. 22:46
반응형

진균 종류와 특성

오늘은 미생물의 하나인 진균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균을 통해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 지도 함께 알아봅니다.

 

 

진균(fungus)이란 무엇인가?

  • 진균(fungus)은 미생물의 일종으로 곰팡이, 효모, 버섯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군입니다. 몸이 균사로 되어 있고 포자로 번식하며 엽록소가 없어 기생 생활을 합니다.

 

진균 즉 곰팡이는 자연계에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약 2만 종이 넘으며,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진균은 약 100여 종이라고 합니다. 진균은 식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어 내지 못해 다른 생물에 기생해서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이러한 형태를 진핵생물이라고 합니다.

 

세포벽과 핵이 있고, 무성생식을 통해 증식합니다. 환경에 따라 포자(spore)를 형성하는 데, 포자는 진균의 종류를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부분의 진균은 영양체 구조인 사상으로 된 관상을 가지며 이를 균사(hyphae)라고 합니다. 균사가 분열과 증식을 통해 덩어리를 이루는데 이것을 균사체(mycelium)이라고 합니다. 진균은 균사를 형성하는 사상균형과 균사를 형성하지 않는 타원형 형태의 단세포성 효모형이 있습니다.

 

진균의 종류

진균은 유성 생식을 통해 유성포자를 만듭니다. 포자 형성 방법에 따라 크게 4강(class)으로 구분합니다.

  • 접합균류(Zygomycetes)
  • 담자균류(basidiomycetes)
  • 자낭균류(ascomycetes)
  • 불완전균류(deuterromycetes)

 

집합 균류는 균사에 격벽이 없으며 무성포 자로는 포자낭포자를 형성하는 것과 유성포자로는 접합포자를 형성하는 진균이 있습니다.

집합균류

 

자낭균류는 유성생식에 의한 자낭 내에 2-8개의 자낭포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담자균류는 균사의 말단에 담자기(basidium)을 형성하며, 이 위에 4개의 담자포자(유성포자)를 형성합니다. 버섯이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작물에 번식하여 피해를 입하는 녹병균과 깜부기 역시 담자균류에 속합니다.

 

불완전균류는 유성생식 포자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인체에 해를 입히는 병원성이 대부분 불완전 균류에 속합니다. 

 

위의 표는 아래의 자료를 참고함(원출처) 링크깨짐현상

곰팡이 효모.pdf
0.93MB

반응형

댓글()

클로트리마졸

의학용어|2021. 6. 15. 20:10
반응형

클로트리마졸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카네스텐이라 부르는 무좀약의 주요 성분이다. 진균에 저항다는 뜻의 항진균 약물이다. 진균은 칸디다증, 아구창, 기저귀 발진, 어우러기, 무좀, 밭백선 등이 백선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강 복용과 피부 도포용으로 사용된다. 

클로트리마졸이 글어가 있는카네스텐


구강 투여시 메스꺼움과 가려움증이 동반된다. 피부에 바르면 발진과 화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구강보다는 피부에 바르는 것이 안전하다.


아졸계 계열의 약물은 세포막을 파괴함으로 진규를 파괴하기 때문에 일반 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독성을 가지고 있다. 

 

더 읽을 거리

카네스텐 크림

무좀의 원인과 치료약

 

반응형

댓글()

무좀과 습진의 차이

건강상식|2021. 6. 15. 18:09
반응형

무좀과 습진의 차이


무좀은 무좀균인 피부사상균에의한 감염성 피부질환이다.
습진은 가려움과 홍반, 부종 등의 피부질환을 통칭한다. 아토피 피부염, 지루 피부염 물집 습진, 건성습진, 주부습진 등이 있다. 


무좀은 곰팡이 균에 의한 감염질환이다. 피부의 각질층과 체모, 손톱, 발톱 등 단백질에 기생하고 번식한다. 겉으로 볼 때는 무좀과 습진은 잘 구분되지 않는다. 보이는 증성은 거의 비슷하다. 다만 무좀은 발이나 특정 부위에 머물러 있는 반면 습진은 온 몸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이있다. 


무좀은 기생하는 진균을 잡기 위한 항진균제를 사용하고, 습진은 보습제와 연고를 통해 치료한다. 습진은 몸 안에서 옮겨 다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지 않는다. 반면 무좀은 진균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된다.

 

반응형

댓글()